2021.08.3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가속화

#디지털 #가속화 #뉴노멀 #온라인 #스마트워크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확산, 재난 일상화, 글로벌 가치 사슬 변화 등 ‘뉴노멀’을 빠르게 경험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온라인화, 기업 입장에서는 스마트워크화 및 소비자와의 비대면 소통이 가속화되어 현재 전 세계 기업들의 화두로 디지털 전환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이란 기존의 전통적 제조기업의 비즈니스 방식에서 벗어나 실시간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양면-다면의 다양한 생산자-소비자가 새로운 가치 획득이 가능한 생태계 중심 플랫폼 비즈니스로 전환되는 현상을 통칭합니다. 제한된 분야에 적용되는 단순한 기술 혁신과 달리 디지털 전환은 기업 경영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며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업종과 영역을 불문하고 기존 사업을 재해석해 어떻게 디지털 기술을 접목할 지가 향후 기업의 성장잠재력과 직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업무 프로세스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조사(2020)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하는 국내기업은 9.7%에 불과했으며, 디지털 전담조직을 보유한 기업도 6.2%에 머물러 아직까지 국내기업들은 체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곳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기술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디지털 전환은 이제 기업에게 필수불가결한 생존 전략이 되었습니다. 이런 전략을 발빠르게 도입해 업무 효율과 고객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기업들에게 더 큰 신성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회사의 디지털 전환 대응력(추진 방향, 전담조직 보유 여부, 전문인재 확보 여부, 투자 계획 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 언택트 서비스 이용경험 vs. 육성 분야 >

자료 : 경기연구원



< 포스트코로나 영역별 유망기술 전망 >

자료 : KISTEP 온라인 포럼(2020.4.29.) '코로나19가 바꿀 미래' 발표자료, 경기연구원


우리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의필 제2108-25호 (2021.08.26 ~ 20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