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프로세스
ESG 투자
우리 ESG
투자 프로세스
당사는 ESG투자 정책 및 지침에 입각한 ESG투자 프로세스를 갖추고, 투자 전 과정에서 기업의 재무적 요소와
비재무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점검과 건설적인 주주활동을 통해 수탁자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ESG를 고려한 투자 |
투자대상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
주주 활동 |
공시 |
|||||
---|---|---|---|---|---|---|---|---|
기업에 중요한 영향 또는 성장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ESG 요소와 이슈, 국내외ESG Trends 관련 정량적·정성적 분석 실행 개별기업에 재무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재무적 리스크의 선제적 관리 및 Value 창출 |
모니터링 이원화
|
의결권 행사의결권 행사
외부 의결권 자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의결권 행사의 독립성 및 전문성 보완 (의결권 자문기관:서스틴베스트) Engagement
|
|
|||||
모든 종목 담당자, 운용역들이 참여하여 결정하는 Team approach 추구
|
수탁자책임위원회수탁자책임활동에 대한 최종 승인권을 가진 위원회로,운용, 리스크관리, 준법감시 등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운용자산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사안의 의결권 행사, 주주활동의 대상/범위/유형 등을 결정함 |
수탁자책임활동 담당자수탁자책임활동에 대한 기록 유지, 공시 등을 전담하여 수행 |
ESG통합분석
당사는 증거 기반의 리서치와 검증을 통해 ESG통합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Fundamental
ResearchESG
통합분석ESG
ResearchPLUS
투자전략-
Negative
Screening- ESG관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산업/기업에
대한 투자 배제
Positive
Screening- 동종 산업 내 다른 기업
대비 우수한 ESG 성과를
보이는 산업/기업을 선별하여 투자
ESG
Momentum- 회사의 자체노력으로
ESG개선이 기대되거나
Engagement를 통해
개선을 유도하여 개선 산업/기업을 선별하여 투자
ESG
Theme- 규제/정책/소비패턴 등
ESG의 구조적 변화에 부합하는
산업을 영위하는 산업/기업을 발굴하여 투자
Active
Ownership- 기업의 ESG성과 개선을
위해 주주권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투자
Fundamental Research
- 기업별 ESG 데이터 수집
- 외부 협업기관으로부터 ESG 등급 및 ESG평가data 수집
- Trend Data 분석
- 퀀트 전문인력과 ESG 전문인력이 ESG 정책·규제 및 사회의식 변화, 투자자의 투자trend, 변화 tracking
- 기업 탐방 및 담당자 미팅
- 섹터 담당자 및 운용역이 기업탐방 및 담당자 미팅을 통해 수집된 정보에 대한 검증 및 추가 정보 습득
- 기업별 Controversy 이슈 및 국내외 ESG 관련 동향 수집
- 외부 협업기관으로부터 Controversy Report, weekly, monthly 자료를 통해 기업별 Controversy 이슈 점검 및 국내외 ESG 관련 정책 변화, 기관 동향 등 상시 업데이트
-
- 평가
-
평가기관간 등급 괴리도 조정
평가기관간 등급 괴리도를 내부 정보 수집 과정을 통해 보완
재무적 영향 기반 반영율 조정
컨트로버시의 경우, 운용역이 재무적 영향을 분석하여 편입/편출, 편입비중 조정여부 결정
ESG 투자 테마 부합군 설정
ESG Trend 분석을 기반으로 도출한 테마에 부합하는 섹터, 기업에 가중치 부여
ESG Research
- MACRO
-
- 국내외 증권사 리서치 활용
- 세미나/포럼/기업IR 등 참석
- Bloomberg, Dataguide 등 데이터 활용
- Industry
-
- 산업전문가 초빙 세미나
- 국내외 증권사 리서치 활용
- 산업지표 분석 및 산업 유관기관 발간자료 등 활용
- Event
-
- 언론보도, 기업공시, 인적네트워크 등 다양한 정보출처 활용
- Fundamental
-
- 정기적인 기업탐방
- 기업 담당자 미팅 실시
- 국내외 증권사 리서치 및 세미나 활용
- 섹터 담당자의 Valuation 모델, Quant 모델 등 자체 분석모델 활용
-
- Question Analysis
- 모닝미팅, 주간/월간 미팅시 운용본부 구성원간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투자아이디어 도출
- Quant Analysis
- 퀀트 전문인력이 Quant Modeling의 Signal 적정성 검증, Industry Data분석, Trend Data 분석 등 실시
- Qualitative Analysis
- 각 섹터 담당자 및 운용역이 관련 종목에 대해 기업탐방 및 기업담당자 미팅 등을 통해 In-depth 리서치 수행
ESG관련 이슈 발생 시 대응 체계
당사는 투자대상기업에 중대한 ESG관련 이슈 발생 시, 각 분야의 전문성에 입각한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이슈의 심각성을 평가하고 포트폴리오 영향을 점검하여 최선의 대응 전략을 마련, 적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정보 수집
- ESG 뉴스 Daily 모니터링 및 공유
- 외부 협업기관 weekly 자료 활용
-
이슈 분석
- ESG관련 이슈의 심각성 평가
- 외부 협업기관 Controversy
Report 활용
-
영향력 분석
- 운용역 및 섹터 담당자 점검
- 대응전략 분석
-
전략 수행
- 대응 결과 분석
- ESG보고서 작성